본문 바로가기

먹고살거/KPI

[개념정리] 자바스크립트 개념

정말 신기한 홈페이지를 찾았다.

이렇게 정리가 잘되있을수가!! 글을 읽으면서 우아~ 아~ 이해가 막막되었다.

맘대로 퍼갔다고 혼나진 않겠지 ㅠㅠ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JavaScript는 웹과 관련된 최신 기술로서 넷스케이프사와,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가 공동으로 개발한 언어입니다.

JavaScript는 넷스케이프사에 의해서 LiveScript(라이브 스크립트라는 이름으로 넷스케이프 브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였음) 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 되었습니다. 이 스크립트 언어는 기본적인 html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코드가 html 문서 사이에 직접 들어가도록 고안 되었으며 CGI를 대처하기 위한 목적도 갖고 있었는데 넷스케이프사가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에서 개발한 Java를 지원하기 시작하면서부터 Java와 밀접하게 연관된 스크립트 언어의 기능을 충분히 살리는 방향으로 적용되면서 JavaScript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자바 스크립트는 자바 언어가 만들어진 이후, html만을 사용한 텍스트 위주의 정적인 문서를 동적인 웹 환경으로 구현 하기위해 개발된 언어이므로 자바 언어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나 문법 등 많은 것들은 그대로 빌려왔습니다. html 문서로는 기본적으로 정의한 내용을 보여주는 것이외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상호작용을 원할하게 지원하지 못한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html 문서를 변경하지 않는한 홈페이지의 방문자는 항상 같은 내용만 보게 되는데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html 확장언어가 만들어졌고 그 대표적인 것이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입니다. 자바 스크립트는 html과 마찬가지로 웹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있는 특별한 단어들로 이루어진 텍스트 문서입니다 따라서 자바 스크립트는 html처럼 텍스트로서 다운로드되어 웹 브라우저 화면에 보이게 되므로 html 소스를 보면 스크립트 코드를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자바(Java)와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차이

자바와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용도와 난이도는 판이하게 다릅니다 자바(Java)는 실제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을 만들 수 있는 전면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는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닙니다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는 스크립트 함수가 html 문서 안에 존재하고 웹 브라우저의 동작을 정의하는 각 이벤트를 제어한다는 점에서 프로그래머가 아닌 일반 사람들도 쉽게 배워서 사용할 수 있는 스크립팅 언어로서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특징
  • JavaScript는 html 내에 JavaScript를 기술하고 html 문서와 함께 수행됩니다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실제로 실행하는 것은 마이크로 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Microsoft Inter Explorer),넷스케이프의 네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와 같은 웹 브라우저입니다

  • JavaScript는 인터프리터(해석자,해석프로그램) 언어로서 브라우저에 의해서 실행될 때마다 번역되어야만 합니다.인터프리터 언어의 문제는 실행될 때마다 번역되어야 하므로 수행시간이 오래걸립니다.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사용하기

    스크립트 언어를 html문서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SCRIPT>~</SCRIPT>라는 태그를 사용하고 LANGUAGE(언어명)속성을 정의하여 줍니다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하려면 조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html 태그는 문법을 사용할 때 대문자나 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아무거나 써도 상관없지만 <SCRIPT>~</SCRIPT>안에 들어가는 태그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하기 때문입니다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위치는 <head>와</head>사이 <body>와</body>사이 입니다
    자바 스크립트의 실행은 스크립트가 있는 위치에 와야만 실행이 됩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읽혀져 실행되는 <head>와</head>사이에 삽입하여 사용합니다<body>와</body>사이에 스크립트 태그를 넣어 사용할 경우에는 스크립트가 놓인 위치에 따라 실행되는 순서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이상은 거의 <head>안에 넣어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의 예제는 간단한 텍스트 문장을 출력하는 스크립트가 삽입된 html문서 소스입니다

    < html>
    <head>
    <title> 여기는 제목을 씀</title>
    <SCRIPT LANGUAGE="JavaScript">
    document.write(" <CENTER>")
    document.write(" <br> <H2>안녕하세요! </H2>")
    document.write("Welcome to babung home")
    </SCRIPT>
    </head>
    <body>
    <p> 스크립트 연습중입니다 </p>
    </body>
    < /html>


    위의 <SCRIPT LANGUAGE="JavaScript">~ </SCRIPT>사이에 사용된 소스설명

    document.write는 document(현재 브라우저 문서)에 write(출력하라)는 구문입니다
    document.write(" <center>") 여기서 <center>는
    출력될 내용을 브라우저의 중앙에 위치하게 하라는 태그이고
    document.write("Welcome to babung home") 은
    Welcome to babung home이라는 글자를
    document(현재 브라우저 문서)에 write(출력하라) 는 태그입니다

    document : 현재의 문서를 의미하는 객체
    write : 무엇인가를 출력하라는 document객체가 사용하는 함수(메서드)
    document.write()의 괄호 안에는 변수를 사용할 수도 있고 따옴표로 묶어주면 일반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또한 html태그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객체, 속성, 메소드, 이벤트란?
    객체는 물질로 이루어진 모든 것을 의미 합니다. 사람,자동차,자전거,강아지 등등을 객체라 부릅니다. 이러한 각각의 객체는 고유한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속성이란 각각을 이루고 있는 성질, 객체의 크기나, 색깔이나, 그위에 씌워진 글귀등 모든 성질을 총칭해서 속성 이라고 합니다. 예를들면 자동차는 바퀴가 있고 엔진이 있고 색상이 있고 배기량이 있고 강아지는 다리가 있고 털이 있고 꼬리등이 있습니다. 객체는 이와같은 속성외에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메소드란 그 각각의 객체가 할 수있는 일을 뜻합니다.사람객체는 말을 할 수 있고 자동차객체는 굴러갈 수가 있습니다. 이벤트는 어떠한 조치나 행동을 필요로하는 사건 발생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각각의 객체가 어떠한 일을 당했을때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메소드나 속성의 변화를 말하는데 예를 들면 버튼이 있다면 그 버튼을 누른 것이나, 버튼위로 마우스 커서를 가져간 것등이 이벤트가 될 수 있습니다.이와 같은 이벤트가 중요한 이유는, 프로그래머가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그것에 상응하는 조치를 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이것을 바로 이벤트 핸들링이라고 합니다. 윈도우는 이벤트를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마우스를 클릭하면 마우스클릭이벤트가 발생하고 키보드의 키를 누른다거나 종료버튼을 누르면 창이 닫힌다거나 하는것 처럼 사용자에의 발생하는 행위뿐 아니라 메모리가 모두 소진되어 버리는 것과 같이 시스템에서 발생한 일들도 이벤트로 간주됩니다

     

     

      [출처] http://yih2080.dothome.co.kr/js_1.html